안녕하세요. 즐거운 주식공부시간입니다. 어제까지 우리는 시가, 주가, 시가총액, EPS에 대해서 공부했는데 다들 기억하고 계시나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PER이라는 것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주린이에게 당부하는 말이 있어요. 아무리 바빠도 공부가 어려워도 주식투자를 하려면 적어도 PER, PBR, ROE 정도는 반드시 알고 투자하라 고 말입니다.
잘은모르지만 PER, ROE 같은 용어가 엄청나게 중요한 것인가 봐요.
그래서 오늘공부는
1.PER(Price Earning Ratio) 입니다.
순수한 우리말로는 주가 수익 비율이라고 해요..
한 주당 순수익과 비교하여 주가는 몇 배 이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한 주 의 가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비율이니까 당연히 몇 배(한배 두배 세배 이런 식으로)라고 하겠죠?
식으로 말하면
PER= 현재 주가/EPS(주당순이익) 이랍니다.
여기서 우리는 지난 시간에 배운 EPS 가 또 나왔네요? 다시 한번 복습해 보실 분은 아래글로 가시면 보실 수 있어요.
EPS 라는게 뭔가요?
주식시장에 뛰어들기도 전에 알아야 할 용어가 너무 많아서 시작도 못하고 포기하고 싶은 주린이 입니다. 주식에 대해 좀 안다 하는 사람들은 PER 가 얼마야? 혹은 EPS가 얼마지? 하는 이야기를 많
merauke.tistory.com
즉,
한 기업이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가에 비해서 현재 주가 가 얼마나 저평가되어있는지 혹은 고평가 되어있는지 알아보는 지표라고 이해하시면 된답니다. 쉽게 예를 들어볼꼐요.
오늘도 역시 우리가 좋아하는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위에 보시는 데로 오늘 삼성전자의 주가는 69,500원입니다. 이걸 EPS 4,069원으로 나누는 거예요.
즉
PER=69,500/4,069 =17.080 이런 식으로 PER은 17 열일곱 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삼성전자가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순수익에 비해서 17배를 뻥쳐서 벌어들이고 있다는 뜻이네 라고 이해하면 된답니다.^^
이해되셨나요?
오늘의 현재 삼성전자는 주가에 비해서 무려 17배 이상의 기대감이 반영되어있다 라고 말할 수 있어요.
아하.. 그래서 사람들은
PER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되어있다고 말하는 거구나.. 흠흠.. Okey
흔히들 주식은 미래의 기대감에 때문에 투자를 한다고 하잖아요. 그래서 PER 이 너무 높으면 앞으로 더 오를 일이 희박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PER 이 낮을수록 좋다고 말 한답니다. 하지만 제가 공부를 해본 결과 꼭 그런 것만은 아니더라고요.
순이익이 높아지면 PER 라는 숫자가 아무리 높아도 무조건 고평가 되었다고 단정 지으면 안 된다는 거예요.
왜냐하면 상대적으로 비교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업종이 바이오 같은 경우에는 고평가 음식산업 같은 것은 저평가되어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는 업종별 per을 함께 고려해서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거예요
아래 그림을 보시면 업종별 PER이라고 있죠?
이런 식으로 우리는 반드시 재무제표를 하나하나 분석하는 연습을 해야 해요.
왜냐고요?
우리는 아직 주린이 이니까요.. 자 그럼 오늘 PER에 대해 확실하게 아셨죠?
원래는 하루에 용어 두 가지 정도는 공부를 하려고 했는데 워낙 왕초보 주린이다 보니까 두 개씩은 무리인 것 같아서 당분간은 하루에 한 개만 용어를 공부하려 합니다.
잘 아시는 분들은 답답하시겠지만 우리주린이는 차근차근 천천히 공부하기로 합시다.
그럼 성공하는 투자를 위하여
열공!!!
'왕왕초보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E 란 무엇인가요? (0) | 2020.12.06 |
---|---|
PBR 이란? 중요한가요? (0) | 2020.12.05 |
EPS 라는게 뭔가요? (0) | 2020.12.02 |
공모가 라는건 또 뭔가요? (0) | 2020.11.30 |
액면가는 무슨뜻인가요? 시가, 시가총액은요? (0) | 2020.11.29 |